(macOS) Visual Studio Code에 PlatformIO IDE extension을 추가하여 LILYGO T-Beam SX1262 개발 준비

다음은 LILYGO (구 TTGO) T-Bea, SX1262 개발을 준비해 보고자 한다.

휴... 개발 준비 전문가가 될 지경임

일단 해당 보드는 ESP32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그래서 이미 ESP32 개발 준비 과정을 거쳤다면 PlatformIO IDE에 ESP32 보드 패키지가 모두 설치되어 있을 것이고, T-Beam의 Platform 역시 아래와 같이 찾아질 것이다.

(다만 이름이 제작사의 옛날 이름인 TTGO로 되어 있는 것만 주의하면 된다.)


1. LILYGO T-Beam SX1262 Blink LED 예제 (ESPIDF framework)

ESP32 개발 연습했을 때와 같이 Framework를 Espidf로 설정하여 새로운 프로젝트 "Blink_LED_ESP32_T-Beam-SX1262_ESPIDF"를 생성하자.


ESP32 기반이기 때문에 기존에 ESP32 Blink LED 예제 할 때와 다른 것은 거의 없다.

platfromio.ini 정도만 다를 듯.


평소에도 필요하면 넣지만, 이번에는 monitor_speed를 직접적으로 맞춰 주지 않으면 정상적인 monitoring이 되지 않으므로 일부러 넣어줬다.

main.c도 지난번 ESP32 개발 연습 시 사용했던 "[ESP-IDF] LED Blink 구현" 블로그 기반 파일 내용으로 덮어 쓴다.

LED GPIO는 공식 GitHub에서도 은근히 찾기가 쉽지 않았다.

그래서 ChatGPT, Gemini에게 물어보니 옛날 버전은 GPIO 14 LED가 제어 가능하고, 새로운 버전은 GPIO 4 LED가 제어 가능하다는 답변을 해 줬다.

실제로 14로 Build하면 엄청난 오류가 나길래, 4로 바꿔서 했더니 깔끔하게 성공


ESP32-S2와 다른 점이 있었다면, 굳이 GPIO 0 버튼을 누르면서 USB에 연결하지 않아도 upload, monitoring 모두 한 번에 가능하다는 것이었다.

아마 구버전이라 bootloader와 monitoring을 따로따로 독립시키지 않았나 봄.


참고로 초기 펌웨어가 이미 LED를 깜빡이고 있었어서, 일부러 위와 같이 속도 값을 1000에서 500으로 줄였다.

다행히 플래시 이후 LED 깜빡이는 속도가 빨라진 것으로 보아 모두 정상적으로 동작한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3초 결과 동영상을 올리려고 했더니 안 올라가서 일단 이대로 종료-


Comments